반응형
윈도우 서버에서 톰캣 메모리를 설정할때 보통 catalina.bat 파일을 수정한다.
(리눅스는 catalina.sh)
근데 경험상 나중에 로그를 확인 해 보면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던 경험이 있는데
확실하게 톰캣의 힙메모리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.
톰캣을 실행할때
Tomcat9 뒤에 w 가붙은
아파치 서비스매니저 파일을
관리자 모드로 실행하고
java 옵션에 들어가서
Initial memory pool 과 Maximum memory pool에 원하는 값을 입력하고
General -> Start 버튼을 눌러 톰캣을 실행시켜주면 된다.
반응형
'웹개발 > 개발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acle to PostgreSql Migration SpringBoot JPA 이슈사항, 톰캣 실행안됨 해결! (0) | 2021.05.04 |
---|---|
Maven Project에서 Lombok 추가하기! (0) | 2021.03.25 |
[tomcat] 리눅스에서 톰캣서버 강제종료, pid 못찾을 때 방법( port로 processId 찾기 ) (0) | 2021.01.20 |
[tomcat] Cannot find ./catalina.sh , The file is absent or does not have execute permission (0) | 2020.12.02 |
DB 관리자 계정 만들기 (1) | 2019.02.11 |
댓글